2. 튜플(tuple) 자료형
2022. 3. 28. 19:38ㆍPython/국비지원 복습
튜플(tuple) 이란?
- 파이썬의 자료구조 형태중 하나
- 순서가 있는 집합
- 소괄호(())로 작성되어지며, 튜플의 내부 값은 콤마(,)으로 구분
- 추가, 수정, 삭제 불가능
리스트 vs 튜플
공통점
- 타입과 상관 없이 일련의 요소(Element)를 갖을 수 있다.
- 요소의 순서를 관리한다.
차이점
- 리스트는 가변적(mutable)이며, 튜플은 불변적(immutable)
- 리스트는 요소가 몇 개 들어갈지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사용
- 튜플은 요소 개수를 사전에 정확히 알고 있을 경우에 사용
#튜플 생성
t1 = (1,2,3)
t2 = ('a','b','c')
t3 = (1,2,3,'a','b','c')
t4 = (1,2,3,('a','b'))
t5 = 1,2,3,('a','b')
t6 = (8,) # 튜플자료를 단독으로 집어넣을 경우에 사용 나머지는 리스트자료형과 똑같이 사용
print(t6)
print(len(t1))
# 검색할 문자를 입력하여 다음 문자열에 몇번 들어있는지 확인하는 예제 (*알파벳 소문자와 대문자는 구분된다.*)
s= "Hi, My name is Hojin"
str1= input("검색할 문자를 입력하세요: ") # 입력문
# 조건문 변수 str1에 입력된 문자열이 s안에 들어있지 않다면 다음과같은 출력문을 출력해주세요~
if str1 not in s :
print(f"'{str1}' 는 문자열에 들어있지 않습니다.")
elif str1 in s:
print(f"'{str1}' 는 {s.count(str1)} 번 들어있습니다") # str에 들어있는 문자열이 s에 몇번 들어있는지 셀수있게 만드는 함수 : count
# -> elif절 -> str1에 입력된 문자열이 s에 들어있다면 그 문자열이 몇번 반복되었는지 출력해주세요~
#리스트자료형을 검색하여 몇번째 인덱스에 들어있는지 출력하는 예제 (인덱스번호를 불러오게 만드는 함수 index활용)
lst = ['딸기','바나나','수박','체리','포도']
str2 = input('검색할 문자를 입력하세요 >>')
if str2 in lst:
print(f"{str2}는 리스트에 {lst.index(str2)} 번째 인덱스에 들어있습니다.")
else:
print(f"{str2} 는 리스트에 들어있지 않습니다.")
'Python > 국비지원 복습' 카테고리의 다른 글
3. 반복문 (while, for) (0) | 2022.03.28 |
---|---|
1. Python 리스트(list) 공부 (0) | 2022.03.25 |